경찰 병원 급습? 이미 3단계?… 가짜뉴스 '창궐'

입력
기사원문
이강진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코로나 확산·의료파업 혼란 속 허위정보 ‘창궐’
휴업 관련 병원 공지가 ‘급습’ 와전
경찰 “SNS 첫 유포자 수색” 내사
입맛대로 악의적 유언비어 흘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과 의사들의 집단 휴업 등 시민의 생명과 안전에 밀접한 일들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각종 ‘가짜뉴스’도 범람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시민들의 혼란만 가중되고 있다.

27일 경찰에 따르면 서울 서대문경찰서는 의사들이 집단 휴업에 돌입한 전날 ‘경찰이 파업에 참여한 전공의들이 있는 세브란스병원을 급습했다’는 내용의 가짜뉴스를 유포한 이들에 대해 내사 중이다.

앞서 해당 내용이 담긴 카카오톡 캡처 사진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해 빠르게 유포되면서 경찰과 세브란스병원으로 관련 문의 전화가 빗발쳤고, 일부 전공의들은 경찰이 자신들을 범죄자 취급한다며 반발하기도 했다. 경찰 관계자는 “사이버수사팀에서 최초 (유포된) 카카오톡 내용 등을 확인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세브란스병원 측은 논란이 심화하자 “의료정책의 부당성을 알리는 1인 홍보 활동을 펼치던 전공의 등에게 ‘2명 이상 함께 있을 경우 시위로 판단될 수 있다’고 안내한 것이 여러 사람에게 전달되면서 와전됐다”고 해명했다. 이와 관련해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이날 “현재 인터넷 등에 떠도는 ‘한의사 교육을 통해 의사면허를 교부한다’는 등의 내용도 명백한 가짜뉴스”라며 “의료인과 국민들도 뉴스를 접했을 때 이성적인 판단을 위해 항상 사실 여부를 꼼꼼히 확인해 달라”고 당부했다.

최근 코로나19 확산세와 관련해서도 확인되지 않은 허위정보들이 무차별적으로 퍼지면서 시민들의 불안감을 높이고 있다. 특히 ‘사회적 거리 두기 3단계 격상’과 관련한 각종 가짜뉴스가 유포되면서 방역 당국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차장은 이날 열린 중대본 회의에서 3단계 격상 관련 허위정보가 유통되는 상황을 놓고 “다른 목적에서 생산되는 가짜뉴스와 허위정보는 방역 당국의 차단과 억제조치를 무뎌지게 만들 것”이라고 우려했다.
3단계 격상과 관련해 사회적 논의가 이뤄지기 시작한 지난주부터 이미 “3단계 격상이 예정됐다”는 내용의 각종 ‘지라시’가 퍼지면서, 시민들의 불안감을 자극한 바 있다. 해당 내용을 SNS를 통해 받아본 적 있다는 최모(54)씨는 “맨 처음 (3단계 격상 가짜뉴스) 내용을 보고 확진자가 그만큼 늘었나 보다 싶어 걱정이 앞섰다”며 “아무래도 걱정이 되는 사안이다 보니, 지인들이 보내주는 정보들에 우선 관심이 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광복절 광화문집회 참가자들 사이에 퍼진 ‘아무런 증상이 없는 집회 참석자들을 대상으로도 코로나19 검사를 시켜 개인정보를 수집해간다’, ‘사랑제일교회 교인은 무조건 양성 판정을 받도록 조작한다’는 등의 가짜뉴스는 정부의 방역활동을 방해하고 있다.
온라인상에서는 언론 기사를 자신들의 입맛에 맞게 조작해 마치 언론사가 실제 보도한 것처럼 꾸미는 일도 벌어지고 있다. 지난 25일 인터넷 커뮤니티 ‘디씨인사이드’에는 ‘[속보] 문 대통령, “중국과 함께면 코로나 이겨낼 수 있어”’라는 제목의 기사가 포털사이트를 통해 게시된 것처럼 속인 사진이 게시됐다. 하지만 문재인 대통령이 해당 발언을 하거나 언론사가 기사를 내보낸 적은 없었던 것으로 밝혀졌으며, 경찰은 해당 건 수사에 나섰다.

전문가들은 혼란한 시기일수록 가짜뉴스가 빠르게 퍼져나가기 쉬운 만큼, 정부의 적절한 조치와 함께 시민들의 자정 노력을 주문했다. 박종민 경희대 교수(언론정보학)는 “자신들이 (해당 사안에 대해) 원하는 방향으로 일종의 유언비어 형태의 가짜뉴스를 만들어 배포하는 것”이라며 “악의적이거나 완전히 비사실적인 문제로 사회에 해가 될 부분에 대해서는 시민들이 경각심을 갖고, 자정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다만 박 교수는 정부의 직접적·사전 규제와 관련해선 “표현의 자유와 연관돼 있기 때문에 조심스러운 문제”라고 설명했다.

이강진 기자 ji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