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사회통계(306호) - 인공지능에 대한 국민 인식

일반 사회 통계
일반 사회 통계
간편후원 신청
후원신청을 위해 전화번호를
남겨주시면 저희가 전화 드리겠습니다.
연락처
전문보기
닫기
전문보기
목회데이터연구소는 간편후원신청 및 후원 안내를 위해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고자 합니다.

1. 개인정보 수집 · 이용
본인은 [개인정보 보호법] 제 15조(개인정보의 수집 · 이용)에 따라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대해 동의합니다.

가. [수집 · 이용목적]
수집 · 이용목적 : 간편후원신청 및 관련 후원 안내

나. [수집 · 이용항목]
수집 · 이용항목 : 연락처

닫기

일반사회통계(306호) - 인공지능에 대한 국민 인식

2025-10-14 16:28 51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비메오 링크 바로가기
  • 클립보드 복사
[넘버즈] 306호의 최근 언론 보도 통계 중에서 일반사회에 관련한 내용만 따로 추출한 내용입니다.
제목 : <인공지능에 대한 국민 인식>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로 확인하세요.
2c3cebb750ff981bc84408dc642e0e10_1760426785_9011.png
[인공지능에 대한 국민 인식]
우리 국민 4명 중 3명(75%), ‘AI에 관심있다’!

•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과학기술과 인공지능(AI) 정책을 총괄하는 부총리급 부처로 승격됐다. 국정과제로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이 지정될 만큼 우리 사회에서 AI에 대한 관심은 지대하다.
• 최근 발표된 ‘2025 인공지능 인식조사’(한국리서치) 결과에서도 보면 우리 국민의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도는 75%에 달했다. 국민 4명 중 3명꼴로 AI에 관심이 있다는 얘기다.
• 연령별로는 전 연령대에서 70% 이상의 관심도를 보였고, 특히 18~29세에서 8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c3cebb750ff981bc84408dc642e0e10_1760426844_846.png


소득수준 높을수록 ‘인공지능이 나의 삶에 긍정적 영향’ 인식 높아!
• 이번에는 인공지능 기술이 현재 자신의 삶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물었다. 그 결과, ‘긍정적 영향을 준다’가 52%로 가장 높았고, ‘부정적 영향’을 언급한 비율은 4%에 그쳤다.
• 가구소득별로 보면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긍정 인식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월 평균 ‘600만 원 이상’ 가구는 57%가 긍정적이라고 응답한 반면, ‘300만 원 미만’은 47%로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2c3cebb750ff981bc84408dc642e0e10_1760426852_2761.png


AI 기술, ‘우리나라 경제의 신성장 동력이 될 것’ 81%!
•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으로 인한 긍정적/부정적인 변화에 대한 인식(동의율)을 살펴본 결과, 대체로 국민들은 AI 기술 발전의 긍/부정 변화에 모두 공감하고 있었다.
• 긍정적 변화로는 ‘AI 기술은 우리나라 경제의 신성장 동력이 될 것이다’에 81%가 동의했으며, ‘AI 기술 발전으로 삶의 질이 더 높아질 것이다’도 76%의 높은 동의율을 보였다.
• 부정적 변화 역시 ‘AI 기술 발전으로 사생활 침해 문제가 커질 것이다’(77%), ‘AI 기술 발전으로 빈부격차가 심해질 것이다’(68%) 등 우려의 목소리가 적지 않았다.
2c3cebb750ff981bc84408dc642e0e10_1760426861_6393.png

 

, ,

이전글 일반사회통계(306호) - 한국인의 나이와 수명에 대한 인식 2025-10-14 다음글 일반사회통계(306호) - 추석 연휴 발생한 가정폭력 현황 2025-10-14

세상교회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통계 기반 보고서, 넘버즈

넘버즈 뉴스레터 구독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