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사회통계(306호) - 한국인의 나이와 수명에 대한 인식

일반 사회 통계
일반 사회 통계
간편후원 신청
후원신청을 위해 전화번호를
남겨주시면 저희가 전화 드리겠습니다.
연락처
전문보기
닫기
전문보기
목회데이터연구소는 간편후원신청 및 후원 안내를 위해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고자 합니다.

1. 개인정보 수집 · 이용
본인은 [개인정보 보호법] 제 15조(개인정보의 수집 · 이용)에 따라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대해 동의합니다.

가. [수집 · 이용목적]
수집 · 이용목적 : 간편후원신청 및 관련 후원 안내

나. [수집 · 이용항목]
수집 · 이용항목 : 연락처

닫기

일반사회통계(306호) - 한국인의 나이와 수명에 대한 인식

2025-10-14 16:31 30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비메오 링크 바로가기
  • 클립보드 복사
[넘버즈] 306호의 최근 언론 보도 통계 중에서 일반사회에 관련한 내용만 따로 추출한 내용입니다.
제목 : <한국인의 나이와 수명에 대한 인식>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로 확인하세요.
2c3cebb750ff981bc84408dc642e0e10_1760426940_2774.png
[한국인의 나이와 수명에 대한 인식]
한국인, 40개국 중 젊다고 느끼는 기간, 가장 길어!

• 한국인을 포함한 세계인이 생각하는 ‘젊지 않다’ 혹은 ‘늙었다’고 느끼기 시작하는 나이는 언제일까? 한국갤럽이 글로벌 조사 네트워크 WIN과 함께 한국을 포함한 40개국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사람들이 스스로 더 이상 젊지 않다고 느끼는 나이’는 40개국 평균 41세였다.
• 그러나 한국은 51세로 조사국 중 가장 나이가 많아, 한국인은 다른 나라보다 스스로 젊다고 느끼는 기간이 상대적으로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2c3cebb750ff981bc84408dc642e0e10_1760427052_4729.png


한국인, 50대 후반(57세)부터 ‘늙었음’ 자각!
• 사람들이 스스로 늙었다고 느끼기 시작하는 나이는 40개국 평균 53세였고, 한국은 57세로 상위권인 9위에 랭크됐다. 이는 세계 평균보다 4세 많은 수치다.
• 또, 이웃 국가인 일본(51세), 중국(46세)보다는 상대적으로 ‘늙음’을 자각하는 시점이 늦은 것을 알 수 있다.
2c3cebb750ff981bc84408dc642e0e10_1760427059_4248.png


한국인의 장수 낙관론, 40개국 중 최하위권(39위)!
• 이번에는 삶과 수명 인식 질문으로 ‘나는 건강하게 오래 살 것을 낙관한다’에 대한 동의율을 물은 결과, 40개국 평균은 46%로 나타났다.
• 태국(1위, 83%), 인도네시아(2위, 77%), 베트남(3위, 74%) 등 동아시아 일부 국가들은 높은 낙관 수준을 보인 반면, 한국은 26%로 39위, 일본은 11%로 최하위(40%)를 기록하며, 건강 장수에 대한 낙관적 인식이 매우 낮았다.
2c3cebb750ff981bc84408dc642e0e10_1760427067_5176.png

 

, , ,

다음글 일반사회통계(306호) - 인공지능에 대한 국민 인식 2025-10-14

세상교회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통계 기반 보고서, 넘버즈

넘버즈 뉴스레터 구독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