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사회통계(311호) - 2024 다문화 혼인∙출생 통계

일반 사회 통계
일반 사회 통계
간편후원 신청
후원신청을 위해 전화번호를
남겨주시면 저희가 전화 드리겠습니다.
연락처
전문보기
닫기
전문보기
목회데이터연구소는 간편후원신청 및 후원 안내를 위해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고자 합니다.

1. 개인정보 수집 · 이용
본인은 [개인정보 보호법] 제 15조(개인정보의 수집 · 이용)에 따라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대해 동의합니다.

가. [수집 · 이용목적]
수집 · 이용목적 : 간편후원신청 및 관련 후원 안내

나. [수집 · 이용항목]
수집 · 이용항목 : 연락처

닫기

일반사회통계(311호) - 2024 다문화 혼인∙출생 통계

2025-11-18 15:54 94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비메오 링크 바로가기
  • 클립보드 복사
[넘버즈] 311호의 최근 언론 보도 통계 중에서 일반사회에 관련한 내용만 따로 추출한 내용입니다.
제목 : <2024 다문화 혼인∙출생 통계>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로 확인하세요.
653ba5ca08869a61ae0c876c7db69cf4_1763448093_9018.png
[2024 다문화 혼인∙출생 통계]
우리나라 혼인 중 10쌍 중 1쌍(10%)이 ‘다문화 결혼’!

• 국가데이터처(구 통계청)의 최근 ‘2024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에 따르면 2024년 다문화 혼인은 2.2만 건으로 전체 혼인의 10%(10쌍 중 1쌍)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다문화 혼인은 2014년 2.4만 건에서 코로나 19시기(2020~2022년) 2만 건 밑으로 떨어졌다가 이후 반등하여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653ba5ca08869a61ae0c876c7db69cf4_1763448257_8506.png


다문화 혼인(초혼) 연령, 남편 37세, 아내 30세로 평균 7살 차이!
• 다문화 혼인 유형은 ‘외국인 아내’가 차지하는 비중이 7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외국인 남편’ 18%, ‘귀화자’ 11% 순이었다.
• 평균 혼인 연령(초혼 기준)을 한국인 간의 혼인과 다문화 혼인으로 나눠 살펴본 결과, 다문화 혼인은 남편 평균 37세, 아내 30세로 남녀 연령차가 7세 정도로, 한국인 간 혼인(남편 34세, 아내 32세/ 2세 차이)보다 더 큰 연령차를 보인 점이 눈에 띈다.
653ba5ca08869a61ae0c876c7db69cf4_1763448273_6232.png


한국의 다문화 출생아 1.3만 명(2024년), 전체 출생 중 6% 수준!
• 다문화 출생 추이를 살펴보면 2024년 1.3만 명의 다문화 출생아가 태어났으며, 전체 출생 중 다문화 출생의 비중은 6% 수준이다. 또, 다문화 출생은 한국의 저출산 추이에 맞춰 2014년 2.1만 명에서 2024년 1.3만 명으로 전반적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653ba5ca08869a61ae0c876c7db69cf4_1763448296_1351.png

 

, , , ,

이전글 일반사회통계(311호) - 베이비붐 1세대(1955~1963년생)의 노년 생활 인식 2025-11-18 다음글 일반사회통계(310호) - 베이비붐 1세대(1955~1963년생)의 노후 실태 2025-11-11

세상교회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통계 기반 보고서, 넘버즈

넘버즈 뉴스레터 구독 신청